Community 회원공간

뉴스레터 Newsletter

2019-06-21

Newsletter 제 09호 [가이드라인 리뷰 - 영양결핍 GLIM 진단기준]

KSSMN
조회수 5964 목록

영양결핍 GLIM 진단기준
(GLIM criteria for the Diagnosis of Malnutrition)


연세대학교 강남세브란스병원 외과 권인규


영양결핍과 영양결핍의 진단의 중요성은 두말하면 잔소리일 것이다. 하지만, 진단도구마다 기준이 조금씩 다르기도 하고, 각 학회에서 제시하는 진단 기준도 존재하고 있다. 여러 임상연구들이 다른 기준을 사용하고 있기에 데이터를 공유하거나 메타분석하기에도 어려움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2016년 ASPEN, ESPEN, FELANPE, PENSA의 핵심 위원들이 GLIM (Global Leadership Initiative on Malnutrition)을 구성하였고 적절한 영양결핍의 진단기준을 설정하고,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후 수차례의 회의 및 의견조율을 통해 영양결핍의 진단기준을 만들었고, 이 진단기준은 JPEN 2019;43(1):32-40 과 Clin Nutr. 2019;38(1):1-9에 게재되어 소개하고자 한다. 앞으로 많은 연구들이 이 기준을 바탕으로 진행될 것으로 생각되며, 이 기준에 대한 유효성 평가가 이루어질 것이다. 특히나 일부 진단기준은 서양인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설정되었기 때문에, 그러한 기준값의 경우 아시아의 데이터에 근거하여 유효성 평가 후 아시아에서 사용하기에 적절하도록 수정이 필요할 것이다. 영양결핍의 GLIM 진단 기준은 아래와 같다.


진단은 크게 두 단계를 거친다. 우선 이미 입증된 검색도구를 이용하여 영양결핍의 위험군을 분류한다. 다음으로 진단 및 중증도를 분류한다. ‘1. 의도하지 않은 체중감소, 2. 저체질량지수, 3. 근육량 감소, 4. 식이 섭취 또는 흡수 감소, 5. 질병부담/염증’이 진단 기준으로 선정되었으며, 앞의 세기준은 형태에 따른 진단기준으로 뒤의 두 기준은 원인에 따른 진단기준으로 분류한다. 형태에 따른 진단기준과 원인에 따른 진단기준 중 각각 한 가지 이상 해당할 때 영양불량으로 진단할 수 있다.


  1. 1. 체중감소: 6개월 내 5% 이상 감소, 또는 6개월 이상 동안 10% 이상의 체중감소
  2. 2. 저체질량지수: 70세 미만의 경우 20kg/m2 이하, 70세 이상 22km/m2 이하 (아시아의 경우 각각 18.5kg/m2 와 20kg/m2)
  3. 3. 근육량 감소: 검증된 체구성성분 측정도구를 통한 감소 확인
  4. 4. 식이 섭취 또는 흡수 감소: 1주 이상동안 에너지 요구량의 50%이하 또는 2주 이상 섭취감소, 또는 음식의 소화와 흡수가 저하된 만성 위장관 상태
  5. 5. 질병부담/염증: 급성 질병/손상 또는 만성 질환

(체질량지수와 근육량의 경우 아시아 데이터를 바탕으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근육량 감소는 이중에너지 x선 흡수계측법, 생체전기저항 분석법, CT, MRI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근육의 기능 확인을 위해 악력측정 등이 보조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참고가 될 만한 근육량 감소 수치는 원문 참고.)


체중이 6개월 이내 5-10% 또는 6개월 이상 10-20% 감소된 경우, 체질량지수가 70세 70세 미만의 경우 20 미만 70세 이상에서 22 미만인 경우, 근육량이 경도-중등도 감소가 있는 경우 중에 한 가지 이상 해당하는 경우 stage1/중등도 영양불량으로 분류하고, 체중이 6개월 이내 10% 이상 또는 6개월 이상 20% 이상 감소한 경우, 체질량지수가 70세 미만에서 18.5미만, 70세 이상에서 20미만인 경우, 근육량 감소가 심각한 경우 중 한 가지 이상 해당되는 경우 stage2/중증 영양불량으로 분류한다.